본문 바로가기
갱신·퇴거와 보증금 반환

전세계약 갱신 절차와 주의사항 – 자동갱신과 협의갱신의 차이

by 이사집사 2025. 4. 26.
728x90
BIG

전세계약 갱신을 앞두고 있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절차와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자동갱신과 협의갱신의 차이, 집주인과의 소통법, 보증금 조정 팁까지 한눈에 살펴보세요.

 


 

"2년이 다 되어가는데, 전세계약을 갱신할지 말지 고민입니다."

계약 갱신은 단순히 ‘연장한다’는 말로 끝나지 않는다.
법적으로 자동갱신되는 경우와,
집주인과 새로 조건을 협의하는 경우는 결과가 완전히 다르다.

이 글에서는 자동갱신 vs 협의갱신의 차이,
갱신 전 반드시 체크할 항목,
보증금 및 월세 조정 시 유의사항까지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했다.

 


1. 전세계약 갱신,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자동갱신
: 계약 기간 종료 2개월 전까지 임차인과 임대인 모두
갱신 의사 표시가 없는 경우,
동일 조건으로 자동 연장되는 제도 (2+2 법 적용)

협의갱신
: 임차인과 임대인이 새로운 조건(보증금, 기간 등)을
서면으로 합의하여 새 계약을 맺는 것

차이점 요약:

  • 자동갱신은 기존 계약 그대로 유지
  • 협의갱신은 새로운 조건 반영 가능 (금액, 기간 등 변경)

 

 


2. 자동갱신 시 꼭 알아야 할 것들

 

  • 자동갱신은 ‘묵시적 갱신’으로 법적 효력 발생
  • 임대인이 일방적으로 거절하거나 조건 변경 불가
  • 임차인이 계속 거주할 수 있으며, 2년 추가 거주권 발생

주의할 점:

  • 자동갱신되면 특약이나 보증금 조정은 적용되지 않음
  • 새로운 계약서 작성 없이 기존 계약서 그대로 유지됨

 


3. 협의갱신 시 절차와 유의사항

 

① 계약만료 2개월 전부터 임대인에게 갱신 의사 전달
② 보증금, 월세 조정 여부 협의
③ 기존 계약서 바탕으로 ‘갱신계약서’ 작성
④ 확정일자 다시 받기 (변경된 계약은 새로 확정일자 부여 필요)

TIP:

  • 보증금 인상은 연 5% 이내 제한 (임대차보호법 기준)
  • 협의 중 조건 불일치 시 자동갱신도 가능성 있음

 


4. 갱신 전 확인할 핵심 체크리스트

 

  • 계약 종료일 기준 2개월 전인지 확인
  • 임대인 연락 가능 여부 확인 (문자, 이메일 등 기록 남기기)
  • 확정일자 발급 여부 및 전입신고 상태 점검
  • 보증금 인상 여부 및 변경 가능성 검토

사례:
세입자 A씨는 연락 없이 1개월 전 보증금 인상 통보를 받았지만,
자동갱신이 이미 적용되어 거절 가능했다.

 


5. 보증금 또는 월세 조정 시 주의사항

 

  • 인상률은 최대 5% (연 단위 기준)
  • 구두 약속보다 서면 계약서로 갱신계약서 작성 필수
  • 보증금 인상 시 보증보험 재가입 또는 추가납입 필요 여부 확인

실전 조언:

  • 계약서에 “임차인 희망 시 1회 갱신 가능” 특약이 있으면
    집주인 거절 불가능 (단, 2년 이하 계약만 해당)

 


전세계약 갱신 요약 정리

 

  1. 자동갱신과 협의갱신 차이 이해
  2. 자동갱신은 동일조건 유지, 협의갱신은 조건 재협상
  3. 갱신 의사 전달은 계약 만료 2개월 전까지
  4. 갱신 계약서 작성 시 확정일자 재발급 필수
  5. 보증금 인상은 법정 한도 내, 반드시 서면으로 남기기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눌러 주시고,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달아 주세요.
주변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이 계신다면
이 글을 공유해주세요.
앞으로도 꼭 필요한 정보만 모아서 알려드릴게요.
감사합니다.

 
 
 
728x90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