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세사기와 분쟁 예방

보증금 분쟁 사례와 대응법 – 못 받는 상황, 이렇게 해결합니다

by 이사집사 2025. 5. 5.
728x90
BIG

퇴거했는데 보증금이 안 들어옵니다.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보증금 분쟁 사례를 통해, 법적 대응과 사전 예방 방법을 현실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짐은 다 뺐는데, 보증금이 아직도 안 들어왔습니다."

현장에서 실제로 자주 듣는 말이다.
집주인에게 전화해도 답이 없고,
중개사도 “며칠 기다려보시라”고만 할 뿐.

이 글에서는 실제로 발생한 보증금 분쟁 사례를 통해
대응법과 사전 예방 전략을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1. 사례: 퇴거했지만 보증금이 입금되지 않는 상황

 

상황 요약
세입자 A씨는 퇴거 전 집주인과 “당일 계좌 입금” 약속 후
짐을 정리하고 키를 반납했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 입금이 되지 않음.

대응법

  • 문자, 카톡 등 기록을 남겨 “계약상 보증금 반환 기한”을 다시 요청
  • 7일 이상 입금 지연 시, 내용증명 발송
  • 일정 시한을 정해 대응하지 않을 경우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2. 사례: 매매 계약 중 보증금 반환 지연

 

상황 요약
B씨는 거주 중이던 집이 매매되며,
집주인은 “매수인에게 보증금을 받아야 한다”며 반환을 미뤘다.

대응법

  • 기존 임대인 책임이므로 매수인 사정과 무관
  • 등기부등본 확인 → 매수인이 전입하면 대항력 상실 우려
  • 즉시 내용증명 발송 및 임차권등기명령 신청 권고

 


3. 사례: 임대인이 연락 두절, 잠적한 경우

 

상황 요약
퇴거 후 일주일이 지나도 연락이 안 되는 상황.
임대인의 핸드폰은 꺼져 있고, 주소지에도 나타나지 않음.

대응법

  • 내용증명 발송 주소는 계약서상 임대인 주소 기준
  • 임차권등기명령 → 부동산 가압류 → 법적 절차로 전환
  • 이후 민사 소송 또는 경매 절차 통해 보증금 회수 가능성 검토

 


4. 사례: 퇴거 전 상태 점검 갈등으로 보증금 공제

 

상황 요약
C씨는 퇴거 후 벽지와 장판 훼손을 이유로
집주인이 보증금에서 300만 원을 공제함.

대응법

  • 공제액 산출 기준 요청 (견적서 등 증빙 요구)
  • 입주 시 사진 증거 보유 여부 확인
  • 소액임대차 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 신청 가능

 


5. 사전 예방을 위한 핵심 전략

 

① 보증금 반환 방식 특약으로 명시
→ 계약서에 "퇴거 당일 계좌입금" 문구 삽입

② 보증보험 가입
→ HUG 또는 SGI 통해 보증보험 가입 시,
보증금 미지급 시 즉시 보상 가능 (단, 사전 조건 충족해야 함)

③ 퇴거 전 체크리스트 문서화
→ 상태 점검 항목, 열쇠 인계, 공과금 정산 내용 서면으로 남기기

 


 

보증금 분쟁 대응 체크리스트 요약

 

  1. 입금 지연 시, 문자 + 내용증명으로 기록 남기기
  2. 집주인 연락 안 될 경우, 등기명령 신청 준비
  3. 매매 상황은 임차권 상실 우려 → 등기부 확인 필수
  4. 공제는 증빙 자료 요구 + 분쟁조정 신청 가능
  5. 사전 특약 및 보증보험 가입으로 위험 최소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눌러 주시고,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달아 주세요.
주변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이 계신다면
이 글을 공유해주세요.
앞으로도 꼭 필요한 정보만 모아서 알려드릴게요.
감사합니다.

 

 
 
728x90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