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사 준비부터 정착까지

이사 준비 체크리스트 – 1달 전부터 당일까지 실전 가이드

by 이사집사 2025. 4. 17.
728x90
BIG

이사 준비, 어디까지 해보셨나요?

이사 한두 번 해본 분들이 자주 놓치는 실수들까지,

1달 전부터 당일까지 진짜 필요한 것들만 정리했습니다.


처음 이사할 땐 '짐만 잘 싸면 되겠지' 싶었어요.
그 생각으로 첫 이사를 준비했는데, 결과는? 정말 엉망이었습니다.

엘리베이터는 예약 안 해서 기사님들한테 눈치 받고,
전입신고는 늦게 해서 확정일자도 놓칠 뻔했고,
짐은 박스에 뒤죽박죽 담겨 있어서 새집 와서 한참을 헤맸죠.

그 이후로, 저는 이사 준비만큼은 절대 허투루 하지 않게 됐습니다.
지금은 전세 계약과 이사 관련 상담도 자주 해드리는데,
이사 준비 부족으로 생기는 실수는 의외로 반복되는 패턴이 있어요.

이 글엔 제가 직접 경험하면서 배운 것,
그리고 많은 분들이 놓치는 실수까지 전부 담아봤습니다.
실제로 써먹을 수 있게 ‘언제 뭘 해야 하는지’만 딱 정리해드릴게요.


이사 1달 전 – 진짜 중요한 건 여기서 다 결정됩니다

이삿날은 생각보다 금방 다가옵니다.
계약 마치고 나서 “이제 좀 쉬어야지…” 하는 사이,
정신 차려보면 이삿날 일주일 전이에요.

  • 이삿날 정하기
    입주일, 기존 계약 종료일을 기준으로 날짜를 확정합니다.
    월말, 주말은 이사 수요가 몰리기 때문에 가격도 올라가고 일정도 빡빡해요.
  • 이삿짐센터 견적 받기
    무조건 방문 견적 받으세요.
    전화로 대충 말하면 싸게 부르다가, 막상 당일에 추가요금 붙는 경우 많습니다.
  • 짐 정리 시작
    이삿날에 갑자기 옷장을 열어보며 “이건 어디에 넣지?” 하게 되면 늦습니다.
    버릴 것, 팔 것, 줄 것, 챙길 것 네 개로 나눠서 정리하세요.
  • 가전/가구 실측
    침대, 냉장고, 세탁기 등 큰 물건은 새집에 잘 들어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현관문, 엘리베이터 크기까지 꼭 체크하세요.

이사 2주 전 – 하나둘씩 놓치기 쉬운 일들이 생깁니다

이때부터 진짜 정신 없어요.
포장, 행정처리, 일정 조율이 동시에 터지거든요.

  • 전입신고 준비
    ‘정부24’에서 미리 예약해두면 좋아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같이 처리하면 번거로움 줄일 수 있습니다.
  • 전세보증보험 확인
    보증보험 가입은 이사 전에 꼭 마쳐야 합니다.
    이미 계약된 집도 아직 기간 안 지났다면 추가 가입 가능합니다. (모르는 분 많아요.)
  • 가전/가구 배송일 확인
    이삿짐과 가구 배송이 겹치면 정말 정신 없습니다.
    배송은 이사 다음 날로 조정해두세요.
  • 이웃 인사 준비
    기존 집은 엘리베이터, 주차 문제로 간단한 인사가 필요하고,
    새집은 문 앞에 메모 하나만 붙여도 첫인상이 달라집니다.

 이사 3~5일 전 – 몸이 바빠지고, 실수가 늘어나는 시기

이 시기는 진짜 하루하루가 전쟁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멘탈 무너지면 새집 와서도 고생합니다.

  • 짐 포장 시작
    안 쓰는 물건부터 하나씩 박스에 담고,
    방이름, 내용물 다 적어두세요.
    그냥 ‘잡동사니’라고 적으면 진짜 잡동사니가 됩니다.
  • 서류, 계약서, 귀중품 따로 보관
    이삿짐에 섞이지 말고 가방에 따로 챙기세요.
    인감도장, 계약서, 보증금 관련 서류는 본인이 직접 들고 이동해야 합니다.
  • 공과금 정리
    전기, 수도, 도시가스, 인터넷 전부 해지 또는 이전 신청해야 합니다.
    일정 겹치면 요금 이중으로 나와요.
  • 엘리베이터 예약
    아파트나 오피스텔은 꼭 관리사무소에 연락해서 보호매트와 시간 조율하세요.
    예약 안 하면 이삿짐 트럭 대기하다 지연비 내야 합니다.

이사 당일 – 체력전이자, 정신력 싸움

당일엔 손이 열 개여도 부족합니다.

  • 새 집 상태 사진 찍기
    바닥, 벽, 싱크대, 창틀까지 전부 사진으로 남겨두세요.
    나중에 집주인과 원상복구 얘기 나올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기존 집 확인
    싱크대 밑, 세탁기 뒤, 신발장 위… 자주 놓치는 곳이에요.
    한 번 더 체크하고 나오는 게 좋습니다.
  • 쓰레기 처리
    박스, 포장 비닐, 테이프 같은 쓰레기는 이사 당일에 최대한 정리하세요.
    다음 입주자나 이웃에게 민폐 안 되게 하려면 이건 필수입니다.
  • 전입신고 마무리
    이사 후 14일 안에 신고해야 하고, 확정일자 등록도 함께 해두세요.
    그래야 전세보증보험도 확실하게 효력이 생깁니다.

마무리하면서

이사는 매번 힘들지만,
준비만 잘하면 최소한의 스트레스로 끝낼 수 있어요.
무계획이 최대의 리스크입니다.

전세 계약이나 이사 관련해 사람들이 겪는 대부분의 문제는
'미리 알았더라면'으로 시작됩니다.

이 글이 그 ‘미리 알았더라면’을 조금이라도 줄여줄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관련 링크: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신청: 정부24 = https://www.gov.kr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눌러 주시고,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달아 주세요.
주변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이 계신다면
이 글을 공유해주세요.
앞으로도 꼭 필요한 정보만 모아서 알려드릴게요.
감사합니다.

 

728x90
BIG